목록Web/Spring (12)
rose_brown
1. @RequestParam요청의 파라미터를 연결할 매개변수에 붙이는 애너테이션예제1RequestParamTest.javapackage com.fastcampus.ch2;import java.util.Date;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Controllerpublic class RequestParamTest { @RequestMapping("/req..

1. Spring MVCMVC 패턴을 따라가면서 Spring만의 독자적인 Class를 통해 처리함 2. Spring MVC 구성 요소1. DispatcherServlet정의: Spring MVC의 프론트 컨트롤러 역할,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서 적절한 컨트롤러로 전달특징: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고 이를 처리할 적절한 컨트롤러를 찾는 역할web.xml에서 설정하거나 Spring Boot의 자동 설정을 통해 등록사용법: 요청 URL과 매핑되어, 요청을 수신하고 나머지 Spring MVC 구성 요소들과 협력하여 요청을 처리 2. Handler Mapping정의: DispatcherServlet이 어떤 컨트롤러(Handler)를 호출할지 결정하는 역할특징:요청 URL을 분석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할 컨트롤..

1. 회원가입 화면 registerForm.html Register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생일 페이스북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회원 가입 function formCheck(frm) { var msg =''; if(frm.id.value.length Register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생일 페이스북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회원 가입 action 활성화(GET 방식 - default) /head> Register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생일 페이스북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회원 가입 registerInfo.jsp id=${param.id} pwd=${param.pwd} name=${param.name} email=${param.email} birth=${param.birth} sns=${param..

1. 서블릿과 컨트롤러의 비교 1. 서블릿(Servlet)이란? 자바 서블릿(Java Servlet)은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 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흔히 서블릿(Servlet)이라 불린다 2. 서블릿 특징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동적으로 응답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HTML을 사용하여 응답한다. JAVA의 쓰레드를 이용한다. MVC 패턴의 Controller 역할을 맡는다.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servlet.http.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는다. UDP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다. HTML 변경 시 서블릿을 재 컴파일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서블릿은 WAS내의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동작하며, 요청(Request)을 받으면 요청에 ..

1. 관심사의 분리1. 관심사해야할 작업 - ex) 입력, 처리, 출력 등2. SOLID의 원칙1.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 원칙하나의 매서드(클래스)는 하나의 책임(관심사)분리할 때 아래사항 확인하고 분리관심사 확인변하는 것, 자주 변하지 않는 것공통코드(중복코드)2. OCP(Open/closed principle) - 개방-폐쇄 원칙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3.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한다4.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1. 텍스트 파일 & 바이너리 파일 1. 텍스트 파일 문자만 저장되어 있는 파일 2. 바이너리 파일 문자와 숫자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3. MIMF(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에 바이너리 데이터 전송하기 위해 고안 HTTP의 Conten-Type헤더에 사용 데이터의 타입을 명시 4. Base64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때 사용 64진법은 ‘0’~’9’,’A’~’Z’,’a’~’z’,’+’,’/’ 모두 64개의 문자로 구성

1. 프로토콜(Protocol)이란? 서로 간의 통신을 위한 약속, 규칙 주고 받을 데이터에 대한 형식을 정의한 것 2.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단순하고 읽기 쉬움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 확장 가능 - 커스텀 헤더(header) 추가 가능 3. HTTP 메서드 - GET, POST
1. server.xml 톰캣설치경로/conf/server.xml - Tomcat 서버 설정 파일 2. web.xml 톰캣설치경로/conf/web.xml - Tomcat의 모든 web app의 공통설정 3. web.xml 웹앱이름/WEB-INF/web.xml - web app의 개별설정
1. HttpServletRequest의 메서드 1. getPrameter(Parameter Name) - 매개변수로 받은 Parameter의 value를 return함 request.getParameter("이름") 2. getPrameterNames() - name만 return Enumeration(==Iterater) enum = request.getParameterNames(); 3. getPrameterMap() - map 형태로 return Map paraMap = request.getPrameterMap(); //ex) key value //"year" "2023" 4. getPrameterValues() - name이 모두 같은경우 ex) ?year=2021&year=2022&year=2..

1. 주사위(img) 프로그램 TwoDice.java package com.fastcampus.ch2;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Controller // ctrl + shirt + o import 자동 public class TwoDice { @RequestMapping("/rollDice") public void main(HttpServletRe..